-
[UX 독학 D+25] UX 리서치 - 온라인 화상 수업 중 태블릿과 모니터를 번갈아봐야 하는 사용자UXUI 2025. 2. 14. 03:27반응형
문제정의
온라인 화상을 통한 스터디 그룹이 늘어나고 있다 / 수업 중 필기할 때 태블릿과 모니터를 번갈아 보는 것이 불편하다.
UX리서치
사용자 분석
사용자 -> 온라인 화상 수업 중, 필기할 때 태블릿, 수업을 들을 때 모니터를 사용
모니터의 수업 자료를 보고 태블릿에 필기하려면 번갈아봐야함. 그 과정에서 수업을 놓치거나 목에 피로도가 쌓임.
한 곳만 보고도 충분히 가능하면 좋지 않을까?
사용할 수 있는 방법
- 태블릿에 화상 수업 화면을 작게 띄워두고 시선의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로 수업 참여
단점 : 카메라에 얼굴을 보일 수 없음. 화상 수업 화면이 작아 잘 보이지 않음.
- 모니터의 수업 자료를 보면서 그 위에 바로 필기
단점 : 시야 각에 맞게 세워져있는 모니터에 손으로 필기하기가 어려움. 타이핑만 가능.필기를 할 영역이 역시 작아져야 함.
기술 분석
스마트 글래스 : 안경과 컴퓨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. 증강현실 AR 이나 혼합현실 MR 기능을 탑재
글래스로 수업화면을 노트 / 태블릿 위에 띄워 레이어드된 상태로 필기 가능. 외국어 번역, 음성-자막 변환 기술(청각장애) 등 학습에 필요한 다른 기능도 가능.
산업 현장 - 양손으로 작업을 해야하는 현장에서는 휴대폰이나 무전기보다 소통하기 용이해 폭넓게 활용됨.
AI-로그 스마트클라스
AI 기반 에듀테크 플랫폼 기술이 탑재, 안경을 쓰면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모든 글을 읽어줌. 번역 기능.
한계 : 개인 정보 유출 위험.
반응형'UXU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X 독학 D+27] UX 리서치 - 안티에이징에 관심을 갖는 젊은 층 (0) 2025.02.16 [UX 독학 D+26] UX 리서치 - 런케이션을 위해 한국에 방문하는 해외 학생들 (1) 2025.02.15 [UX독학 D+24] UX 리서치 - 공연관람 시 좌석 시야가 어떤 지 몰라 불편한 경우 (0) 2025.02.13 [UX 독학 D+23] UX 리서치 - 미세먼지로 실내 놀이를 해야하는 어린이들 (0) 2025.02.12 [UX 독학 D+22] UX 리서치 - 지하주차장에서 불안을 느끼는 사용자 (0) 2025.02.11